장무 (전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무는 277년에 태어나 전량의 군벌 장궤의 차남으로, 형 장식이 암살된 후 320년 양주자사, 서평공에 즉위하여 전량을 독립 정권으로 이끌었다. 그는 령균대 건설을 추진했으나 간언을 받아 중단하기도 했으며, 한 조와의 외교에서 굴욕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치려 노력했다. 324년 사망하여 성공으로 시호되었고, 이후 장조에 의해 성왕으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장무 (전량) | |
---|---|
기본 정보 | |
이름 | 장무 |
원어 이름 | 張茂 |
자 | 성손(成遜) |
시호 | 성공(成公), 성렬왕(成烈王) (한조에서 추증) |
묘호 | 태종(太宗) |
생년 | 277년 |
몰년 | 324년 |
정치 | |
작위 | 서평성공(西平成公) (전)량성렬왕((前)涼成烈王) |
봉호 | 량왕(涼王) |
정치 체제 | 군주제 (전량) |
재위 기간 | 320년 – 324년 |
이전 통치자 | 장식 |
다음 통치자 | 장준 |
관직 | |
320년–323년 | 사지절 평서장군 량주목(使持節 平西將軍 涼州牧) (절부여; 서쪽을 평정하는 장군, 량주(凉州)의 지사) |
323년 이후 | 사지절 가황월 시중 도독 량남북진량익파한농우서역잡이흉노제군사 태사 영대사마 량주목 영서역대도호 호저강교위 량왕(使持節 假黃鉞 侍中 都督涼南北秦梁益巴漢隴右西域雜夷匈奴諸軍事 太師 領大司馬 涼州牧 領西域大都護 護氐羌校尉 涼王) (절부여; 임시 황색 도끼, 궁궐 시종, 량주, 남/북 진, 량, 익, 파, 한중, 농우, 서역, 오랑캐, 흉노의 군사 업무를 총괄, 태사, 대사마, 량주 지사, 서역 대도호, 저족과 강족을 보호하는 교위, 량왕)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장궤 |
기타 | |
시대 이름 | 건흥(建興) |
시대 이름 (기간) | 320–324 |
2. 생애
277년 장궤(張軌)의 아들로 태어난 장무는, 320년 장식(張寔)이 암살되자 주위의 추대를 받아 양주자사·서평공(凉州刺史, 西平公)에 즉위하였다. 일반적으로 장무가 사사로이 자사 직위를 계승한 이 사건부터 전량이 독립적인 정권으로 성립하였다고 본다.[9]
322년 전조의 유요가 침공하자 장무는 이에 대항하다가 항복하여 복종하기로 하였다. 유요는 전량의 국력을 인정하여 장무를 양왕(凉王)에 책봉하였다.
324년 병사하였다. 시호는 성공(成公)이었으나 354년 장조(張祚)가 성왕(成王)으로 추존하였다.
2. 1. 초기 생애와 경력
277년 장궤(張軌)의 아들로 태어났다.[9] 308년 아버지 장궤가 중풍으로 쓰러지자, 낙양에 있던 형 장식을 대신하여 양주의 정무를 처리했다.313년 사마보에 의해 종사중랑(從事中郞)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했다. 314년 장궤가 사망하자 형 장식이 양주자사직을 계승했고, 장무는 그의 주요 장군으로 활동했다.
2. 2. 전량의 통치자
320년 장식이 암살당하고 장준이 어렸으므로, 주위의 추대를 받아 양주자사(凉州刺史), 서평공(西平公)에 즉위하였다. 일반적으로 장무가 사사로이 자사 직위를 계승한 이 사건부터 전량이 독립적인 정권으로 성립하였다고 본다.[9] 장무는 조카 장준을 후계자로 임명했다.321년, 령균대(靈鈞台) 건설을 시작했으나, 간언을 받아들여 중단했다.
322년, 장군 한포를 파견하여 롱서(隴西)와 난안(南安, 오늘날의 딩시, 간쑤성)을 점령하게 했다. 이 지역은 당시 명목상 한 조의 지배하에 있었고, 한나라는 반란군 진안과 전투를 벌이면서 장무의 영토를 황하 동쪽으로 확장했다.
323년, 한나라 황제 유요가 진안을 물리친 후 계속 진격하여 황하에 이르러, 장무는 전투 태세에 들어갔지만 화평을 협상하여 한나라의 권위에 복종하기로 하였다. 유요는 그를 양공(梁公)으로 봉하고 구석을 하사했다.[2] 그 후, 장무는 령균대의 건설을 재개했다.
2. 3. 전조와의 관계
323년, 전조의 유요가 침공했다. 유요는 28만 명의 군사를 이끌고 하상(河上)에 백여 리에 달하는 진을 쳤고, 전조군의 북소리가 울려 퍼지자 장무가 배치한 황하변의 수비병들은 두려움에 떨며 궤주(潰走)했다.[7] 임조군 출신 적해·석종 등은 현령을 추방하고 현성(県城)과 함께 유요에게 호응했으므로 하서(河西)는 크게 동요했다.장무는 참군 마급의 진언을 받아들여 직접 출병하여 석두(石頭)에 주둔했다. 이때 수비군의 참군 진진에게 방어책에 관해 의견을 구하자, 진진은 이렇게 대답했다. "유요가 지배하는 영토는 광대하지만, 그 지배는 충분히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군대에도 정예병이 적고, 대부분 저·강의 오합지졸입니다. 관동(關東) 일대의 근심을 내버려둘 수 없기에, 헛되이 싸움을 질질 끌고 있을 뿐입니다. 만약 20일이 지나도 그들이 물러가지 않는다면, 이 진진이 약졸 수천 명을 데리고 그들을 사로잡아 바치겠습니다."[7] 장무는 크게 기뻐하며 진진을 평로장군(平虜將軍)으로 임명하고, 보병과 기병 1800명을 이끌고 한박을 구원하도록 했다. 진진은 저족과 강족의 무리를 징발하여 유요와 대치하여 이를 격파하고 남안을 탈환했다. 장무는 그를 크게 칭찬하며 절충장군(折衝將軍)으로 임명했다.
그 후, 장무는 유요에게 사자를 보내 스스로 유요의 신하라고 칭하며 말, 소, 양, 진귀한 보물을 헌상했다.[7] 이로 인해 유요는 군대를 철수시키고, 장무를 시중·도독량남북진량익파한농우서역잡이흉노제군사(侍中·都督涼南北秦梁益巴漢隴右西域雑夷匈奴諸軍事)·태사·양주목(涼州牧)으로 임명했다. 게다가 양왕(涼王)으로 봉하고 구석을 내렸다.[2][7]
2. 4. 죽음
324년 여름, 장무는 병에 걸렸다. 그는 조카 장준에게 진(晉)나라에 충성을 다하라고 당부하고, 자신의 공작 작위는 진나라 황제로부터 받은 것이 아니므로 공작으로 장례를 치르지 말라고 유언했다.[2] 그는 곧 사망했다.[2]건흥 12년(324년) 5월, 장무는 병에 걸려 후계자인 장준의 손을 잡고 눈물을 흘리며 다음과 같이 유언했다. "너는 몸을 삼가고 신하로서의 절도를 지켜 잃는 일이 없도록 하라...(중략)...내가 죽으면 흰색 변모(便帽)를 관에 넣고, 조복은 입지 않도록 하라. 이를 통해 나의 뜻을 나타내는 것이다"[8] 얼마 지나지 않아 장무는 세상을 떠났으며, 향년 48세, 재위 5년이었다.[8]
시호는 성(成)이었다. 전조의 유요는 사자를 파견하여 장무에게 태재의 직책을 하사하고, 성렬왕(成烈王)으로 추시했다.[8] 354년 장조가 왕위를 칭하자, 성왕(成王)으로 추시하고 묘호는 태종(太宗)이라 했다.
3. 연호 사용 문제
대부분의 역사적 자료는 장무가 형 장식처럼 진 민제(愍帝)의 연호인 '건흥'(建興)을 계속 사용했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진나라에 대한 충성을 유지하고 진나라의 원제 및 그의 계통과의 거리를 두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일부 자료에서는 연호를 '영광'(永光, 320–323)으로 변경했다고 나타낸다. 현재 이론으로는 내부적으로는 자신의 연호를 사용하고, 다른 국가와 소통할 때는 '건흥' 연호를 사용했다는 것이다.
4. 평가
장무는 청렴하고 고상하며, 조용한 성격이었다. 또한 학문을 좋아했으며, 속세의 명예나 이익을 추구하지 않았다. 뜻을 품고 절조를 지키며, 중대한 일에 대해 결단력이 있었다고 평가된다.[1]
참조
[1]
서적
Book of Jin
[2]
서적
Shiliuguo Chunqiu
[3]
문서
一説には永元
[4]
문서
『晋書』では大都督・太尉・涼州牧に推挙されたと記載されている。
[5]
문서
『十六国春秋』では使持節・平西将軍・都督涼州諸軍事・護羌校尉・涼州牧・西平公と記載されている。
[6]
문서
『十六国春秋』では9月
[7]
문서
『晋書』では322年の出来事と記載されている。
[8]
문서
『晋書』では325年の出来事と記載されている。
[9]
서적
자치통감
도서출판 삼화
2018-0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